부자스터디/북리뷰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3. 부자아빠의 투자가이드 (9)

부린이스쿨 - 임반장 2020. 12. 14. 20:21

책이 300페이지가 넘어가서야 계속 언급 되었던 내부투자가 얘기가 드디어 나오네요!


Chapter 25. 통제권을 행사하는 내부 투자가

 

기업의 중역이나 이사, 혹은 회사 지분을 10퍼센트 이상 소유한 사람은 누구나 내부투자가이다. 

 

부자 아버지는 늘 마이크와 내가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투자하기를 바랫다. 그것이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늘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내부 투자가들은 스스로 회사를 세움으로써 그들이 운영하거나 팔거나 공개할 수 있는 자산을 만든다.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것은 대부분 시가 총액이 2500만 달러 이하인 소형주였다. 단점이라면 일반 투자가들이 발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것은 대부분 시가 총액이 2500만 달러 이하인 소형주였다. 이런 주식은 거래량이 너무 적어 대개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인다. 어떻게 전체 투자가의 10퍼센트가 전체 주식의 90퍼센트를 통제하는 지를 보여 주는 한 예라 할 수 있다.

 

이런 주식을 찾을 수가 없다면 차선책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 스스로 소형주 기업을 만들어 내부 투자가로서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나는 어떻게 했는가 (로버트 기요사키의 예)

 

먼저 전문 투자가가 되어 부동산을 사들였다. 합자 회사와 법인을 이용해 최대한 세금을 절약해 자산을 보호하는 법을 배웠고, 그 다음에는 몇몇 회사를 세워 추가로 경험을 쌓았다.

 

전문투자가 성공 -> 공인투자가 (적격투자가는 X)  

 

지배권을 행사하고 통제권을 사들여라 

 

기업을 만드는 궁극투자가 - 다른 투자가가 투자하고 싶어 하는 거대 기업을 세우는 것

 

Chapter 27. 최상의 기회는 어느 사분면에 있는가?

 

레이 크록과 부자 아버지는 사업의 목적이 자산을 사는 것임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